맨위로가기

비디오 카메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디오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고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 전문 방송용, 영화 촬영용, 업무용, 일반 소비자용, 고정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초기에는 기계식 닙코프 디스크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1930년대 이후 비디오 카메라 튜브를 거쳐, 1980년대부터 CCD, CMOS 센서 기반의 디지털 카메라로 발전했다. 비디오 카메라는 용도에 따라 촬영 부분이 독립된 형태, 캠코더 형태, 조립형으로 나뉘며, 크기, 기구, 렌즈 마운트, 녹화 매체 등에서도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디오 카메라 -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CCD와 CMOS 센서로 나뉘고, 다이내믹 레인지, 신호대잡음비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며,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비디오 카메라 - 캠코더
    캠코더는 렌즈, 이미저, 레코더로 구성된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로, 방송용에서 가정용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여 다양한 비디오 규격과 기록 방식, 저장 매체의 발전을 거쳤으나 스마트폰 카메라의 성능 향상으로 판매량이 감소했지만 특정 목적에 특화된 제품으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 기록 - 녹화
    녹화는 영상 콘텐츠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로, 접근성과 창작 활동에 기여하지만 저작권 및 사생활 침해 문제도 야기하며,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편리해졌으나 고압축 화질 저하, 광고 스킵, 규격 혼란, 윤리적, 법적 문제와 함께 저작권 보호 및 개인 정보 보호 노력이 요구된다.
  • 기록 - 데이터 스토리지
    데이터 스토리지는 정보를 담는 물리적 재료인 기록 매체를 의미하며, 디지털 정보는 전자 매체에 저장되고,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 유형별 카메라 - 열화상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을 감지해 물체의 온도 분포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장치로, 냉각 장치 사용 여부에 따라 양자형과 비냉각형으로 나뉘며 군사 목적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기술 발전과 가격 하락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 유형별 카메라 - 플레이스테이션 카메라
    플레이스테이션 카메라는 소니에서 개발하여 2013년에 출시된 플레이스테이션 4용 주변기기로, 모션 감지, 음성 명령, 비디오 녹화 기능을 제공하며, 플레이스테이션 VR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비디오 카메라

2. 종류

비디오 카메라는 사용하는 목적, 기기의 구조, 크기, 내부 기구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주요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용도''': 영상을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방송용, 영화 촬영용, 업무용, 일반 소비자용, 고정형(감시용) 등으로 구분된다. 이 외에도 웹캠,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 인공 지능 연구나 의료 분야 등에 사용되는 특수 목적 카메라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 '''구조''': 카메라의 촬영 부분과 녹화 부분의 결합 방식에 따라 촬영부가 독립된 형태, 촬영부와 녹화부가 하나로 합쳐진 일체형, 그리고 별도의 부분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형으로 나뉜다.
  • '''크기''': 카메라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스튜디오용 대형 카메라, 어깨에 메고 사용하는 숄더 카메라, 손에 들고 사용하는 휴대용 카메라, 특정 장소에 설치하는 고정 카메라 등으로 분류된다.
  • '''기구''': 빛을 받아들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내부 방식에 따라 빛의 삼원색을 각각 별도의 이미지 센서로 처리하는 3판식 카메라와, 하나의 센서 앞에 색상 필터를 두어 처리하는 단판식 카메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들은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으며, 하나의 비디오 카메라가 여러 분류 기준의 특징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용 숄더 캠코더'는 용도(업무용), 크기(숄더), 구조(캠코더)라는 세 가지 분류 기준의 특징을 모두 갖는다.

2. 1. 용도

현대의 비디오 카메라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주요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방송용 비디오 카메라''': 텔레비전 제작과 같이 높은 수준의 영상 품질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전문 분야에서 사용된다. 주로 텔레비전 스튜디오나 전자 현장 제작(EFP) 환경에서 활용된다.[15]
  • '''영화 촬영용 비디오 카메라 (시네마 카메라)''': 영화CM 촬영에 특화된 카메라로, 영상미와 표현의 자유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수동 조작 기능을 제공한다.
  •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 결혼식 영상, 가라오케 배경 영상, 홍보 영상 제작 등 비용 효율성과 고화질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전문적인 영상 촬영에 사용된다.
  • '''일반 소비자용 비디오 카메라''': 주로 홈 비디오 촬영이나 전자 뉴스 수집(ENG), 시민 저널리즘 등 개인이 일상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카메라이다. 사용 편의성에 중점을 둔다.
  • '''고정형 비디오 카메라''':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시스템의 일부로, 보안, 감시, 모니터링 목적으로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된다. 내구성과 장시간 안정적인 작동이 중요하다.


이 외에도 컴퓨터와 연결하여 실시간 영상을 전송하는 웹캠, 고화질 동영상 촬영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 그리고 인공 지능 연구, 로봇 공학, 의료 분야나 위성, 우주 탐사선 탑재용처럼 특수한 환경이나 목적에 맞게 설계된 카메라(예: 적외선 카메라(야간 투시경 및 열 감지용), X선 카메라(의료 및 얼룩 영상용)) 등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 카메라가 존재한다.

2. 1. 1. 방송용 비디오 카메라

방송용 비디오 카메라는 전문 비디오 카메라 또는 텔레비전 카메라라고도 불리며, 텔레비전 제작에 사용되는 전문가용 카메라이다.[15] 텔레비전 스튜디오에 고정 설치되거나 전자 현장 제작(EFP)처럼 이동하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자동 기능을 최소화하고 카메라 조작자가 매우 세밀하게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보통 적색(R), 녹색(G), 청색(B)을 별도로 기록하기 위해 3개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다.

방송용 카메라는 무엇보다 절대적인 신뢰성, 높은 화질, 뛰어난 기동성이 요구되는 최고 수준의 장비로, 성능에 있어 타협하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한다.[15] 스테빌라이저나 삼각대와 같은 관련 장비들이 시스템화되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제조사로는 점유율 1위인 소니를 비롯하여 파나소닉과 같은 종합 전자 회사와 이케가미 통신기 같은 방송 장비 전문 회사가 있다.

2. 1. 2. 영화 촬영용 비디오 카메라 (시네마 카메라)

영화 촬영에 특화된 카메라는 '''시네마 카메라'''라고 불린다. 프로의 영화 촬영 외에도 CM 촬영에도 사용된다. 설정 버튼이 많아 자유도가 높은 대신 조작에 손이 많이 가지만, 영화 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시네마 카메라에서는 '''시네마 렌즈'''도 중요하다. 영화 등 영상 분야에서는 카메라 워크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데, 영화 작품에는, 설령 수십 초의 작품이라도 2시간의 작품이라도 《시간》의 개념이 존재하며, 《카메라의 움직임》이 연출의 수단으로 중요하며, 예를 들어 팬처럼 카메라를 돌리거나, 을 하거나, 또는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카메라를 상하로 움직이는 등의 연출, 즉 카메라 워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17] 카메라를 움직이면 당연히 촬영 대상과의 거리나 카메라 렌즈에 들어오는 광량도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시네마 렌즈에는 촬영 중에도 자유롭게 게다가 무단계로 조리개를 바꿀 수 있는 "조리개 링"이 있다.[17] 시네마 렌즈는 "포커스 링"도 갖추고 있으며, 이것 역시 무단계로 게다가 부드럽게 돌릴 수 있으며, 시네마 렌즈에서는 대략 180도에서 200도 정도로, 그 회전 각도가 정해져 있다. 왜 각도가 정해져 있냐면, 예를 들어 영화 촬영의 경우, 포커스 조작은 포커스맨이라는 전문가가 하는데, 포커스맨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줄자로 재서 어느 정도 회전시키면 초점이 맞는지 사전에 정하고, 촬영 전에 렌즈에 표시를 하는 등, 세심하고 정확한 조작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포커스 전문가에게 사용하기 쉬운 각도라는 것이 있고, 포커스 링의 회전각이 너무 크거나 작거나 한 렌즈는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다.[17]

2. 1. 3.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는 가라오케 영상, 결혼식 촬영, 설명용 비디오 제작과 같이 비용 관리가 중요하면서도 고화질 영상이 필요한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카메라이다. 방송용 카메라 다음가는 높은 화질과 거친 사용 환경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함이 요구되며, 사용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과 조작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주로 전기전자 회사나 전문 제조사에서 방송용 카메라의 하위 모델로 출시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소형 캠코더 역시 방송 제작에 사용될 만큼 성능이 향상되어, 영상 제작사에서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18].

2009년 이후 캐논 EOS 5D Mark II와 같이 동영상 촬영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가 등장하면서,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에 따라 DSLR용 스태빌라이저, 헤드폰, 마이크, 외부 모니터, 액정 뷰파인더 등 동영상 촬영을 위한 전문 장비들도 등장하였다.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의 기록 매체로는 빠른 전송 속도와 대용량을 지원하는 컴팩트 플래시(CF) 카드가 주로 사용된다.

2. 1. 4. 일반 소비자용 비디오 카메라 (캠코더)

캠코더는 카메라와 VCR 또는 다른 녹화 장치를 하나의 장치에 결합한 것으로, 이동성이 뛰어나 홈 비디오, 전자 뉴스 수집(ENG) (시민 저널리즘 포함)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 전환된 이후 대부분의 카메라는 녹화 매체를 내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캠코더이기도 하다. 액션 카메라는 360° 녹화 기능을 갖춘 경우도 있다.

캐논의 일반 소비자용 HD 비디오 카메라(캠코더)


일반 소비자용 비디오 카메라(민생용 비디오 카메라)는 영상 촬영 및 제작을 전문으로 하지 않는 일반 시민이 개인적인 목적으로 동영상을 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카메라이다. 업무용 카메라만큼 높은 화질이나 견고성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조작성이 중요하다. 때로는 조명 밝기 등 촬영 환경이 열악한 경우가 많아, 최소 촬영 조도 등 특정 성능 면에서는 업무용 카메라를 능가하기도 한다. 본체가 작고 가벼워 손떨림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대부분의 제조사에서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21세기 들어서는 일반 소비자용 카메라도 고화질 촬영이 가능해져, 일부 영상 제작에 활용되거나 방송에 사용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했다. 이에 따라 제조사들도 고급 모델에는 XLR 단자를 추가하는 등 전문가 수준의 사용을 고려한 설계를 적용하기도 한다.[19] 다만,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성능이 크게 향상되면서 일반 소비자용 캠코더 시장은 점차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화질 영상 촬영에 대한 수요는 존재한다.

2. 1. 5. 고정형 비디오 카메라 (감시 카메라)

고정형 비디오 카메라는 주로 CCTV 시스템에서 감시 카메라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카메라는 보안, 감시, 모니터링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고 무인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고정형 카메라의 경우, 선명한 화질보다는 내구성안정성이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실외 설치 시 비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함과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성능이 필수적이다. 크기가 작고 눈에 띄지 않게 설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경우가 많으며, 필요에 따라 팬-틸트-줌 카메라(PTZ) 기능이 포함되기도 한다.

또한, 산업 현장이나 과학 연구 시설처럼 사람이 접근하기 어렵거나 위험한 환경(예: 방사선 노출, 고온, 유독성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에 특화되어 내구성이 강화된 고정형 카메라도 있다.

2. 2. 구조

비디오 카메라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크게 촬영 부분과 녹화 부분의 결합 방식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촬영 부분이 독립된 형태'''

'카메라 헤드' 등으로 불리며, 촬영부만 독립되어 있는 구조이다. 카메라 헤드에서 나온 비디오 신호선을 카메라 제어부(CCU)를 거쳐 필요한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스튜디오 카메라와 같은 일부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와 대부분의 감시용 비디오 카메라가 이 유형에 속한다. ENG 카메라 분야에서는 일체형 카메라가 일반화되기 전까지 이 방식이 주류였으며, 당시에는 카메라맨과 비디오 엔지니어가 각각 카메라 헤드와 녹화부(비디오 데크)를 나누어 운반해야 했다.

'''촬영 부분과 녹화 부분이 일체화된 형태'''

'일체형' 또는 '캠코더'라고 불리며, 촬영과 녹화 기능이 하나로 합쳐진 형태이다. 렌즈, 촬상관 또는 CCD 등으로 구성된 촬영부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하드 디스크 레코더, DVD 레코더 등의 녹화부가 하나의 기기 안에 통합되어 있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업무용 ENG 카메라와 대부분의 민생용(가정용) 카메라가 이 유형이다. 업무용의 경우, 처음 등장했을 때는 기존 카메라 헤드 방식보다 크고 무거워 카메라맨의 부담이 커진다는 비판도 있었으나, 혼자서 촬영과 녹화를 모두 할 수 있다는 편리함 덕분에 점차 주류로 자리 잡았다. 민생용 시장에서는 개인이 카메라와 녹화 장비를 따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해주었기 때문에 초기부터 환영받으며 빠르게 보급되었다.

'''조립형'''

'카메라 헤드'와 '녹화부'가 별도의 부품(컴포넌트)으로 존재하지만, 이 둘을 조립하여 일체형처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 구조이다. 일부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가 이 방식에 해당한다. 과거 업무용 ENG 카메라의 상당수가 이 유형이었으며, 필요에 따라 카메라 헤드와 녹화부를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어 시스템 구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특히, 특정 제조사의 전문적인 카메라 헤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 이 방식이 선호되었다. 하지만 녹화부의 기술이나 형식이 소수 업체에 의해 주도(과점화)되면서 조립형의 장점이 줄어들었고, 점차 일체형 카메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2. 3. 크기

비디오 카메라는 크기 등에 따라서도 분류가 가능하다.

=== 스튜디오 카메라 ===

무게는 수십 킬로그램에서 렌즈를 포함하면 수백 킬로그램에 달하는 중량급 카메라이다. 삼각대에 고정하거나, 카메라를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이기 위한 가스 스프링이 내장된 카메라 페데스탈에 올려 사용한다. 방송국스튜디오나 스포츠 중계 등에 주로 사용되는 업무용 카메라이다. 숄더 카메라나 휴대용 카메라가 없었던 1976년 이전에는 외부 중계에서도 스튜디오 카메라가 사용되었다. 운반 시에는 카메라 헤드와 렌즈를 분해하여 각각의 전용 케이스에 담는다. 스튜디오 카메라 헤드 대신 뷰파인더 + 숄더 카메라 + 스튜디오 카메라 렌즈 부착용 어댑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숄더 카메라 ===

무게가 약 10kg 정도로 비교적 큰 휴대용 카메라이다. 어깨에 얹어서 사용하며, 삼각대나 이동대에 올려 사용하기도 한다. 무게가 있어 카메라 흔들림이 적고 안정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지만, 휴대성이 떨어져 일반인이 가볍게 촬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주로 업무용 및 하이엔드 아마추어용으로 사용된다. 촬영부(카메라 헤드)만 있는 형태는 1976년에 업무용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촬영부와 녹화부가 일체화된 캠코더 형태는 1980년에 민생용 시제품으로 처음 나왔고, 업무용 일체형은 1982년에 등장했다.

=== 휴대용 카메라 ===

무게는 수 킬로그램 정도인 비교적 작은 휴대용 카메라이다.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들고 사용하며, 대부분 촬영부와 녹화부가 일체화된 캠코더 형태이다. 삼각대나 이동대에 올려 사용할 수도 있다. 크기가 작고 가벼워 편리하지만, 가벼운 무게와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방식 때문에 카메라 흔들림이 발생하기 쉬워, 안정적인 영상을 촬영하려면 상당한 훈련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주로 민생용으로 제작되어 화질이 떨어졌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등장 이후 업무용 수준의 화질을 갖춘 제품들이 나오면서 업무용 영역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 고정 카메라 ===

감시 카메라 등에 주로 쓰이며, 작은 금속 부품 등으로 벽이나 천장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원격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받침대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옥외에서는 내후성이 좋은 카메라 하우징에 넣어 사용한다. 크기가 매우 작은 것(최소 엄지손가락 첫 마디 정도)도 있다.

스튜디오 카메라, 숄더 카메라, 휴대용 카메라는 물보라가 튀는 상황에서는 장비 보호를 위해 렌즈 부분을 제외하고 투명하거나 노란색 등의 보호 시트로 카메라 전체를 덮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주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나 야외 스포츠 중계 등에서 볼 수 있다.

2. 4. 기구

비디오 카메라는 사용하는 기구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많은 제품에는 음성을 녹음하는 마이크나 음성 입력 기능이 탑재되어 있기도 하다.

  • '''3관식/3판식 카메라''': 빛을 다이크로익 미러(특정 색상만 반사하는 특수 거울)를 이용해 삼원색(RGB)인 적색, 녹색, 청색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색에 대응하는 촬상관 또는 촬상판(CCD 또는 CMOS)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3CCD 또는 3CMOS 카메라라고도 불린다. 이 방식은 색 재현성이 뛰어나고 화질이 우수하여 주로 고가의 업무용이나 방송용 카메라에 사용된다. 1990년대부터는 하이엔드급 민생용 카메라에도 3판식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 '''단관식/단판식 카메라''': 촬상관 또는 촬상판 앞에 바이어 배열과 같은 미세한 색상 필터를 배치하여, 하나의 촬상관 또는 촬상판만으로 컬러 영상을 얻는 방식이다.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카메라를 더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으며, 비용 면에서도 유리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민생용 캠코더나 디지털 카메라의 동영상 기능에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화질 면에서는 3판식에 비해 불리하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 '''기타 방식'''
  • * '''2판식 카메라''': 1992년 9월 최초의 민생용 3CCD 방식 카메라인 소니 CCD-VX1이 출시되기 전에 등장했던 방식이다. 휘도 신호(밝기)와 색상 신호로 분리하는 2CCD 방식(소니 EDC-50/EDW-75, 마쓰시타 NV-M10000 등)이나, 녹색(G)과 적색/청색(RB) 신호를 분리하는 2CCD 방식(미놀타 EX-1/히타치 VM-H1000 등)이 있었다. 현재도 일부 특수 목적의 기종에서 채용되고 있다.
  • * '''4판식 카메라''': 과거 방송용으로 개발되었던 방식으로, 이케가미(Ikegami)의 HK-477, HK477P 등이 대표적이다. 이 방식은 RGB 신호 중 특히 중요한 녹색(G) 채널용 CCD를 2개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화소를 이동시켜 촬영함으로써 고화질과 고해상도를 얻으려 한 '듀얼 그린' 방식이었다. 하지만 비용 대비 화질 향상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G 채널(녹색 채널)의 셰이드 노이즈(화면 특정 부분의 밝기나 색조가 불균일하게 나타나는 현상) 증가 문제 등으로 인해 곧 시장에서 사라졌다.

3. 역사

최초의 비디오 카메라는 기계식 닙코프 디스크를 기반으로 했으며, 191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실험적인 방송에 사용되었다. 1930년대에는 블라디미르 즈보리킨의 아이코노스코프와 필로 판스워스의 이미지 분해기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 튜브를 기반으로 한 완전 전자식 설계가 등장하여 닙코프 시스템을 대체했다. 이러한 튜브 방식 카메라는 1980년대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후 전하 결합 소자 (CCD)와 CMOS 액티브 픽셀 센서 (CMOS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기반으로 한 카메라가 등장하면서 점차 대체되었다. 반도체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번인이나 줄무늬 같은 튜브 기술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했으며, 센서 출력이 디지털이어서 아날로그 변환 과정 없이 디지털 비디오 워크플로우를 실용화하는 데 기여했다.

반도체 이미지 센서의 개발은 1959년 벨 연구소에서 MOSFET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 발명되면서 시작된 금속 산화물 반도체 (MOS) 기술에 기반한다.[1][2] 최초의 반도체 이미지 센서인 전하 결합 소자(CCD)는 1969년 벨 연구소에서 MOS 커패시터 기술을 기반으로 발명되었다.[3][1] 이후 NMOS 액티브 픽셀 센서가 1985년 올림푸스에 의해 개발되었고,[4][5][6] 1993년에는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에서 CMOS 액티브 픽셀 센서가 개발되었다.[7][5]

실용적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비디오 압축 기술의 발전 덕분에 가능해졌다. 압축되지 않은 비디오는 메모리와 대역폭 요구량이 비현실적으로 높기 때문이다.[8] 특히 1972년에 처음 제안된 손실 압축 기술인 이산 코사인 변환 (DCT)은 디지털 비디오 압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8][9][10] DCT 기반의 비디오 코딩 표준인 H.26x 및 MPEG 등이 1988년부터 도입되면서 실용적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등장할 수 있었다.[9]

디지털 텔레비전으로의 전환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보급을 더욱 촉진했으며, 21세기 초에는 대부분의 비디오 카메라가 디지털 카메라가 되었다. 디지털 비디오 캡처 기술의 발전은 전문 비디오 카메라와 영화 카메라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오늘날에는 영화 촬영 외의 텔레비전 방송 등 전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중간 등급 카메라를 전문 비디오 카메라라고 부른다.

4. 렌즈 마운트

일부 비디오 카메라는 렌즈가 본체에 내장되어 있지만, 다른 카메라들은 마운트를 통해 교환식 렌즈를 사용한다.

렌즈 마운트는 카메라 제조사나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영화 촬영용 카메라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마운트로는 파나비전 PV 마운트나 아리 PL 마운트 등이 대표적이다.[14] -- 한편, 스틸 사진용 카메라에서 유래한 마운트도 널리 사용되는데, 캐논 EF 마운트나 소니 E 마운트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4] 이 외에도 CCTV와 같은 특수 목적용 카메라에는 S 마운트 등이 사용된다.[14]

5. 녹화 매체

초창기 비디오는 직접 녹화할 수 없었다.[11] 최초의 직접 비디오 녹화 시도는 1927년 존 로지 베어드가 개발한 디스크 기반의 포노비전(Phonovision)이었으나, 당시 기술로는 재생이 불가능했고 1980년대에 들어서야 복원되었다.[11] 비디오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려는 실험은 1951년부터 시작되었으며,[12] 1956년 Ampex사가 최초의 상업용 시스템인 쿼드러플렉스 비디오테이프를 출시했다.[12] 2년 후에는 컬러 비디오 녹화 시스템도 선보였다.[12]

스튜디오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녹화 시스템은 1967년 소니의 DV-2400을 시작으로 하는 포터팩(Portapak)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가능해졌다.[13] 이후 1981년에는 테이프 레코더가 카메라 본체에 내장된 베타캠(Betacam) 시스템이 출시되어 오늘날의 캠코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13]

2009년 캐논 EOS 5D Mark II와 같이 동영상 촬영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가 등장하면서 녹화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 이러한 카메라들은 기존의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를 대체하기도 하며, 관련 장비(스태빌라이저, 헤드폰, 마이크, 외부 모니터, 뷰파인더 등) 시장도 함께 성장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업무용 비디오 카메라 시장은 여전히 존재하며, 주로 빠른 전송 속도와 대용량을 가진 컴팩트 플래시(CF) 카드와 같은 디지털 저장 매체가 녹화 매체로 사용된다.[18]

참조

[1] 서적 The Electronics Revolution: Inventing the Futur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2] 간행물 1960: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Transistor Demonstrated https://www.computer[...] Computer History Museum 2019-08-31
[3] 서적 Scientific charge-coupled devices https://books.google[...] SPIE Press
[4] 간행물 A new MOS phototransistor operating in a non-destructive readout mode 1985
[5] 간행물 Active pixel sensors: are CCDs dinosaurs?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1993-07-12
[6] 웹사이트 Active Pixel Sensors http://pdfs.semantic[...] 2019-10-08
[7] 간행물 A Review of the Pinned Photodiode for CCD and CMOS Image Sensors 2014
[8] 서적 Audiovisual Quality Assessment and Prediction for Videotelephon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
[9] 서적 Intelligent Multimedia Data Hiding: New Direc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
[10] 간행물 How I Came Up With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https://www.scribd.c[...] 1991-01
[11] 웹사이트 'Phonovision': 1927-28 « the Dawn of TV http://www.tvdawn.co[...]
[12] 웹사이트 A History of Videotape, Part 1 https://blogs.librar[...] Duke University 2022-02-11
[13] 서적 Home Truths?: Video Production and Domestic Lif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1
[14] 뉴스 The RedShark Guide to Lens Mounts https://www.redshark[...] 2022-03-03
[15] 웹사이트 特集 その時、舞台裏では…カメラ機材の変遷と撮影・表現方法の変化 NHKアーカイブス https://www2.nhk.or.[...]
[16] 웹사이트 https://www.sony.jp/[...]
[17] 웹사이트 映画撮影用のシネマレンズを一眼ムービーで試す https://shuffle.genk[...] 2024-12-04
[18] 웹사이트 事例紹介 https://www.sony.jp/[...] 소니
[19] 웹사이트 AX700 Project Member’s Voice https://www.sony.jp/[...] 소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